-
국제기구들,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 잇따라 하향…불안한 정치와 글로벌 변수 영향한국경제 2025. 3. 24. 19:08728x90
최근 국제기구들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연이어 낮추고 있다.
- **AMRO(ASEAN+3 거시경제조사기구)**는 2024년 말 기준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1.6%**로 하향 조정했다.
- **Fitch Ratings(국제 신용평가사)**는 3개월 내 두 차례에 걸쳐 전망치를 2.0%에서 **1.3%**까지 낮췄다.
- OECD 역시 단 한 번에 2.1%에서 **1.5%**로 크게 조정했다.
이 같은 하향 조정의 배경에는 다양한 요인이 존재한다.
AMRO는 수출 감소, 물가 상승, 에너지 가격 불안, 중국·유럽의 경기 둔화, 지정학적 리스크(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분쟁) 등을 주요 위험 요인으로 지목했다.
Fitch는 특히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검토 논란 등 정치적 불안정성을 성장률 하락의 주요 이유로 꼽았다.또한,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와 관세 강화 움직임도 한국 경제에 악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공급망과 수출 산업에 부담을 줄 수 있다.
한국은행도 이에 보조를 맞췄다.
2025년 성장률 전망을 1.5%에서 낮춰 1.4%까지 하락할 가능성을 제시했고, 2026년 전망치도 비슷한 수준으로 조정될 수 있다고 밝혔다.국제기구들은 전반적으로 한국이 정치·경제 양면에서 불확실성과 구조적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중기적으로 안정을 회복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평가했다.
728x90'한국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지역 과학기술 혁신, 국가전략산단 중심으로 가속화" (1) 2025.03.24 OECD, 한국 성장률 전망 2.1%→1.5%로 하향…관세 전쟁 여파 본격화 (1) 2025.03.24 트럼프 정책으로 美 경제성장률 1.6%로 급락 전망...인플레이션 2.8%로 상승 우려 (0) 2025.03.24 구리 가격 급등…경기 회복 신호일까, 일시적 반등일까? (0) 2025.03.24 줄줄이 하향 조정되는 한국 경제 전망…IMF도 1%대 전망 가능성 (0)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