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정책으로 美 경제성장률 1.6%로 급락 전망...인플레이션 2.8%로 상승 우려한국경제 2025. 3. 24. 19:01728x90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주요 경제 정책이 미국의 성장 둔화와 인플레이션 상승을 초래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파이낸셜 타임스(FT)와 시카고대학교 부스 경영대학원이 공동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다수의 경제학자들이 트럼프의 관세 부과 확대 및 연방정부 축소 정책에 우려를 나타냈다.
조사 결과, 2025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1.6%로 하락, 인플레이션은 2.8%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현재보다 성장률은 낮아지고, 물가는 오히려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가능성을 시사한다.
트럼프는 특히 중국, 유럽 등 주요 무역국에 대규모 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있으며, 연방정부의 예산 및 지출을 줄이는 작은 정부 지향 정책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기업들의 생산 비용을 높이고, 소비자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보호무역적 접근이 단기적으로 일부 산업을 보호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무역 마찰 심화, 공급망 불안정, 수입물가 상승 등 부작용이 더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과거 트럼프 행정부 시절에도 관세 정책은 미국 내 철강·알루미늄 산업에는 혜택을 줬지만, 제조업 전반에는 오히려 부담이 됐다는 평가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트럼프의 경제 정책은 정치적 인기와는 별개로 미국 경제의 체력과 물가 안정성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728x90'한국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지역 과학기술 혁신, 국가전략산단 중심으로 가속화" (1) 2025.03.24 OECD, 한국 성장률 전망 2.1%→1.5%로 하향…관세 전쟁 여파 본격화 (1) 2025.03.24 국제기구들,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 잇따라 하향…불안한 정치와 글로벌 변수 영향 (0) 2025.03.24 구리 가격 급등…경기 회복 신호일까, 일시적 반등일까? (0) 2025.03.24 줄줄이 하향 조정되는 한국 경제 전망…IMF도 1%대 전망 가능성 (0) 2025.03.24